[기획 시리즈 : 카자흐스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 3 – 아르메니아]
대표적인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에는 카자흐인들외에도 고려인, 러시아인, 독일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통상, 카자흐스탄에는 100여 민족이 살고 있다고 말하는데, 잉구쉬, 크림타타르, 체첸, 오세티야, 둥간, 위구르, 아프카니스탄, 우즈베크, 투르크멘, 유대인, 터어키, 쿠르드,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쟌, 카자끼,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등등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은 민족이 카자흐초원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언제 무슨 이유로 이 땅에 왔을까? 이런 질문은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며,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카자흐스탄사람이라고 뭉둥거려서 일컫는 이들 중에는 옛부터 갈등의 역사를 가진 민족들이 있을 수 있고, 그게 아니더라도 전혀 다른 민족의 기원과 역사와 문화를 가진 이들이 존재한다.
사실, 우리와 얼굴 모양이 흡사하다고 해서 카자흐인들과 고려인을 구분하지 못하는 서양인들이 있다면 우리는 이들에게 조금은 서운해 할 것이다. 반만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민족을 아직도 모르는 세계인이 있냐고……
마찬가지로 이 땅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민족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다면 우리는 카자흐스탄과 고려인에 대해서도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민족에 대한 관심은 결코 미세한 차이를 극대화 시켜 소수민족별로 갈라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각개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더 잘 이해함으로써 세계시민으로서 또는 카자흐스탄 국민으로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함임을 분명히 해 둔다.
고려인에 대한 아픈 역사를 안다면 고려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처럼 우리도 기타 소수민족의 문화와 역사를 잘 앎으로써 이들을 더 잘 이해해 보도록 하자. 그리고 형제가 되자.
본지에서는 이러한 취지로 이 땅에는 어떤 민족들이 살고 있나? 시리즈를 기획하였다. <편집자 주>
3.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여인들. 아리안계통의 아르메니아인들은 동서양의 아름다움을 모두 구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지난 호에 카자흐스탄에는 고려인과 비슷한 운명을 가진 민족이 있다고 했다. 오늘은 그 말을 좀 수정해야겠다. 이곳에는 고려인과 비슷한 수난의 역사를 가진 민족들이 많이 살고 있다. 오늘 소개할려는 아르메니아도 이런 부류에 속한다.
카자흐스탄에 살고 있는 아르메니아인들의 슬픈 역사는 1915년으로 거슬러올라간다. 1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당시 오스만투르크 제국은 중립을 선언한다. 그러나 3국연합측에 속해 있던 러시아가 카프카스산맥을 넘어 남하해오자 부득이 오스만투르크는 3국동맹(독일측)에 가입하고 러시아에 대항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오스만투르크제국의 국민이었지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동방교회)를 주로 믿는 아르메니아인들은 같은 기독교국가였던 러시아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아르메니아인들 중 일부는 터키군에 소속되어 러시아에 맞서 싸운 반면, 일부는 러시아로 들어가 제정 러시아군에 합류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비극은 시작된다.
강제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수십만명(터키 측 주장 20만명, 아르메니아 측 주장 200만명)이 희생되었던 것이다. 물론, 당시 아르메니아인들 뿐만 아니라 오스만제국내에 살던 쿠르드, 앗시리아, 일부 아랍인들도 독립을 요구하자 제국의 틀을 유지할려는 오스만제국군대에 의해 희생을 당한다. 이때 아르메니아인들이 학살을 피해 해외로 이주하면서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가 이뤄졌다. 현재 구소련의 해체로 인해 독립한 아르메니아에는 약 300만명이 살고 있는 것에 비해 해외에는 약 700만명이 살고 있다. 물론 이 중 400만명이 러시아에 거주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에도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가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유대인’이라고 불리는 이유이다.
그러나 미-소 간의 냉전이 시작되자 소련과 국경을 접하는 터어키는 유럽을 지키는 최전선이라는 지정학적 역할 부여로 인해 미국과 서방은 터어키의 아르메니아인 학살 사건에 대해 일체의 언급을 자제하고 침묵을 하게 된다. 아르메니아인들의 가슴에 다시 한번 한이 맺히는 시기였다. 이후 소련의 해체와 함께 터어키의 전략적 가치가 떨어지자 프랑스를 필두로 당시의 사건을 터어키에 의한 아르메니아인 학살로 규정하게 된다. 아르메니아 이주자가 많은 프랑스는 ‘아르메니아 학살 부인 금지법’을 제정하기도 했다 2016년에는 독일 연방의회가 집단 학살로 규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고려인과 아르메니아인
고려인과 아르메니아인들의 수난의 서로 다른 역사적 환경에서 잉태되었지만 너무나도 닮아 있다. 그것은 바로 제국주의 침략자와 또 이에 맞서는 측에서도 필요에 의해 이용되고 버려지는 약소민족의 운명이라는 점이다. 일제가 만주를 점령한 데 이어 연해주까지 침략을 노골화하자 위협을 느낀 소련은 연해주 지역의 고려인들이 일제의 편에 서는 것을 두려워해서 선제적으로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조치를 취한다. 이것은 단지, 22년 전에 오스만투르크제국이 자국내 아르메니아인들이 남하하는 러시아편을 들 것을 두려워해서 취하는 강제이주와 판박이로 닮아 있다.
물론, 고려인의 강제이주를 일면적으로만 관찰하면 안되듯이 아르메니아인들의 비극도 다양한 관점에서 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냉엄한 현실 속에서 힘이 약하거나 분열된 민족의 운명이 얼마나 비참해질 수 있나는 것을 확연히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홀로코스를 당한 이스라엘이라는 국가가 인류의 보편적 인권보다는 자신의 국익에 눈이 멀어서 아르메니아인들의 이 비극에 대해 침묵한다는 현실이 우리를 더욱 슬프게 한다.
그러나 옛 역사속 아르메니아는 왼쪽으로는 로마와 오른쪽으로는 페르시아와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대국이었다. 하지만 이런 시기는 오래가지 못하고 세계사를 뒤흔들었던 로마와 페르시아 사이에 끼인 지정학적 위치 때문인지 주변의 강대국에 시달리는 역사를 반복해 왔다. 대신 이런 역사는 오히려 아르메니아인들에게 어디에도 굴하지 않는 문화적 자부심을 남겨놓았다. 카자흐스탄에 사는 아르메니아인들도 본국의 아르메니아인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문화와 종교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카자흐스탄에 맛보는 아라라트 코냑
아르메니아인들은 와인의 본향임을 자부한다. 그래서 이웃 조지아와 함께 와인의 종가를 놓고 원조경쟁을 벌이기도 한다. (현재는 와인은 조지아, 코냑은 아르메니아로 정리되어 있다)
아르메니아인들은 노아의 방주가 걸린 아라라트산과 이후 성경에 묘사된 술에 취한 노아를 인용하면서 술존심을 세우곤 하는데, 알마티의 주류상점이나 대형마트에스는 아라라트 코냑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영국의 처어칠수상이 매우 좋아했다고 전해지는 아라라트 코냑은 아르메니아인들의 술존심을 대변하듯 그 풍미와 맛이 최고이다.
뿐만 아니라 아르메니아 인들은 자신의 음식문화에 대한 자부심도 대단하다. 푸쉬킨이 “그루지야(조지아) 음식은 하나하나가 시다”라고 칭송했다지만 만약 푸쉬킨이 아르메니아 음식을 제대로 알았다면 그렇게 말하지 못했을 것이다고 말한다.
알마티시내에도 그루지야 식당이 여럿 있고 또 성업중이지만 아르메니아 식당도 곧잘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요리인 샤슬릭의 경우, 카자흐인들은 사막에서 자라는 삭사울 나무로 만든 숯으로 구워야 제 맛이라지만 아르메니아인들은 포도나무 숯으로 구워야 제 맛이라고 한다. 우리식으로 하자만 참나무 숯으로 고기를 구워야 맛있다는 말일 것이다.
아르메니아인들은 인류 최초로 301년에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 있는 사람들인 만큼 종교성도 강하다. 종교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해 오고 있는 ‘인종-종교적 집단(ethno-religious group)’의 성격이 강하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Armenian Apostolic Church)는 오랜 기간 민족정체성을 수호하고 중세의 종교적 전통을 유지해 왔으며, 19세기 말에 이르러서야 ‘인종-종교적 정체성’이 ‘민족정체성’으로 전환될 수 있었다. 아르메니아 교회는 아르메니아 땅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디아스포라 사회의 아르메니아화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김상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