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
대표적인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에는 카자흐인들외에도 고려인, 러시아인, 독일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통상, 카자흐스탄에는 100여 민족이 살고 있다고 말하는데, 잉구쉬, 크림타타르, 체첸, 오세티야, 둥간, 위구르, 아프카니스탄, 우즈베크, 투르크멘, 유대인, 터어키, 쿠르드,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쟌, 카자끼,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등등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은 민족이 카자흐초원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언제 무슨 이유로 이 땅에 왔을까? 이런 질문은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며,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카자흐스탄사람이라고 뭉둥거려서 일컫는 이들 중에는 옛부터 갈등의 역사를 가진 민족들이 있을 수 있고, 그게 아니더라도 전혀 다른 민족의 기원과 역사와 문화를 가진 이들이 존재한다.
사실, 우리와 얼굴 모양이 흡사하다고 해서 카자흐인들과 고려인을 구분하지 못하는 서양인들이 있다면 우리는 이들에게 조금은 서운해 할 것이다. 반만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민족을 아직도 모르는 세계인이 있냐고……
마찬가지로 이 땅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민족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다면 우리는 카자흐스탄과 고려인에 대해서도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민족에 대한 관심은 결코 미세한 차이를 극대화 시켜 소수민족별로 갈라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각개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더 잘 이해함으로써 세계시민으로서 또는 카자흐스탄 국민으로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함임을 분명히 해 둔다.
고려인에 대한 아픈 역사를 안다면 고려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처럼 우리도 기타 소수민족의 문화와 역사를 잘 앎으로써 이들을 더 잘 이해해 보도록 하자. 그리고 형제가 되자.
본지에서는 이러한 취지로 이 땅에는 어떤 민족들이 살고 있나? 시리즈를 기획하였다. <편집자 주>
5. 위구르
<위구르민족문화중앙 간부들이 자신들의 문화를 알리는 홍보부스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에서 ‘양고기 샤슬릭’, ‘쁠롭’, ‘베스빠르막’ 등과 함께 가장 즐겨 먹는 음식 중 하나가 바로 ‘라흐만’이다. 라흐만은 이 지역을 여행하다보면 어디서든지 맛볼 수 있는 대표적인 면요리인데, 필자는 아직 이 음식을 맛을 보지 못한 분들에게 때 ‘고기와 야채를 볶아 간짜장처럼 면위에 얹어주는 음식. 쉽게 말해 해물이 없는 볶음 짬뽕’ 이라고 설명한다. ‘구이류 라흐만’이나 ‘수이류 라흐만’ 등은 그 맛이 정말 일품인데, 한국인이면 누구나 금방 친해지는 대표적인 중앙아시아 음식 중 하나이다.
이 요리는 알마티 같은 대도시는 물론이고 시골에서도 ‘라흐만하나’라고 써져 있는 식당에 들어가면 저렴한 가격에 맛있는 이 요리를 즐길 수가 있다. 카자흐스탄 최대 도시인 알마티의 경우 알마스 구역에 가면 갓 구운 ‘고기 삼싸’(고기가 들어가 있는 구운 만두 같다고 비유할 수 있는 현지 음식)와 함께 맛있는 라흐만 요리를 맛볼 수 있다. 알마스구역은 알마티도심을 기준으로 볼 때 서쪽에 위치한 지역인데, 서울시에 비유하자면 영등포구나 양천구쯤에 해당되는 곳이다. 특히 이 지역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직선으로 쭉 뻗은 ‘야사위’거리에는 ‘라흐만’ 을 파는 식당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길가에 화덕(탄드라뻬치)을 만들어 놓고 직접 빵을 구워서 팔기도 하고 ‘라흐만하나’라고 간판을 단 면요리집들도 많이 있다. 이런 집들에 들어가면 메뉴판은 구이르 라흐만, 수이르 라흐만, 다마쉬니예 라흐만, 쪼면…. 등 이루 말할 수 없이 다양한 이름의 라흐만이 있다. 이 길을 따라 걷거나 골목을 따라 한블럭 안쪽으로 들어가보면 이곳이 알마티가 아니라 위구르인자치구의 어디쯤에 여행 온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이다.
이 곳 외에도 알마티시내에는 라흐만 식당들이 곳곳에 있다. 근데, 한가지 특이한 점은 라흐만을 파는 대부분의 식당들은 주류를 일체 팔지 않는다는 점이다. 식당을 운영하면서 주류를 팔지 않고 음식만을 판다는 것은 매상을 높이고자 하는 식당주의 입장에서는 쉽지 않은 결정이다. 식당을 이용하는 손님의 입장에서도 고기와 야채를 볶은 라흐만을 먹을 때 시원한 맥주 한잔을 곁들일 수 있다면 금상첨화이겠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시내 일부 식당을 제외한 대부분의 ‘라흐만하나’에서는 주류를 판매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이 식당들의 주인이 이슬람교를 믿기 때문이다.
필자가 글의 서두에서부터 음식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바로 이 음식의 원조 민족을 소개하기 위함인데, 바로 이슬람교를 믿는 위구르 민족이다.
<위구르인들의 대표음식인 구이르 라흐만>
위구르인들은 누구?
위구르인들은 카자흐스탄의 남동부 지역과 중국 신장지역에 걸쳐 살고 있는 투르크계 민족이다. 중국의 기록에 따르면, 오늘날 터키의 기원이 되는 돌궐(투르크)부족이 속해 있는 몽골고원의 유목집단이었던 철륵의 일원이었다. 약 6세기경에 떨어져 나왔으나 돌궐부족이 돌궐제국으로 성장하면서 그 휘하에 복속되었다가 당의 보호를 받기도 하였다. 이후 돌궐이 동서돌궐로 분열되고 내분에 빠지자 주변 부족과 연합해 동돌궐을 무너트리고, 741년 위구르 제국을 건국한다.
위구르는 자신들의 말과 중국의 비단을 거래하는 이른바 견마무역을 통해 이득을 얻었는데 원래 말과 비단의 환율은 1대1이었으나 위구르는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이 환율을 1대40, 1대50 등으로 멋대로 올려버리면서 당나라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기도 했다.
위구르는 북방에서 일어난 키르기즈에 의해 840년 멸망했다. 그러나 키르기스도 위구르 제국을 대체할만한 제국을 세우지는 못했고 많은 위구르 유민들은 원 거주지인 몽골 고원 지방에서 현 거주지인 동투르키스탄으로 이주하여 천산 위구르를 세웠으며 타림 분지 현지에 거주하는 인도유럽어 계통 백인들과 혼혈하여 지금의 위구르인을 형성하였다. 현재의 우즈베키스탄인과 투르크메니스탄인들이 이들과 외모가 매우 비슷하다.
위구르인들은 징기스칸이 대몽골제국을 건설할 때 큰 기여를 한 집단으로 세계사에 기록되어 있다. 원래 유목제국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불안정한 유목경제를 보완할 경제적 토대를 확보해야만 되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만리장성 이남에 대한 약탈 혹은 교역을 통해서거나 아니면 실크로드를 장악함으로써 동서 교역을 통해 경제력을 신장시킬 때만이 가능하다. 대몽골제국 건설과정에도 이 원칙이 적용되어 지는데, 징기스칸은 몽골고원을 통일한 후 가장 먼저 실크로드를 확보할 계획을 세우고 되고 이에 적극 호응한 이들이 바로 위구르 집단이었다. 위구르 문자를 이미 가지고 있던 이들은 몽골어까지 능통했기 때문에 대몽골제국의 테크노크라트로서 지배계층의 한 축으로 역할했다.
이들과 우리역사와의 관계를 따져 보면, 위구르인들은 당시 고려에 시집 온 몽골 공주나 지배관리였던 다루가치들을 따라 온 사람들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