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오피니언칼럼, 기고[기획 시리즈 : 카자흐스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 2 – 크림타타르]

[기획 시리즈 : 카자흐스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 2 – 크림타타르]

카자흐스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

   대표적인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에는 카자흐인들외에도 고려인, 러시아인, 독일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통상, 카자흐스탄에는 100여 민족이 살고 있다고 말하는데, 잉구쉬, 크림타타르, 체첸, 오세티야, 둥간, 위구르, 아프카니스탄, 우즈베크, 투르크멘, 유대인, 터어키, 쿠르드,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쟌, 카자끼,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등등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은 민족이 카자흐초원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언제 무슨 이유로 이 땅에 왔을까?  이런 질문은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며,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카자흐스탄사람이라고 뭉둥거려서 일컫는 이들 중에는 옛부터 갈등의 역사를 가진 민족들이 있을 수 있고, 그게 아니더라도 전혀 다른 민족의 기원과 역사와 문화를 가진 이들이 존재한다. 
사실, 우리와 얼굴모양이 흡사하다고 해서 카자흐인들과 고려인을 구분하지 못하는 서양인들이 있다면 우리는 이들에게 조금은 서운해 할 것이다. 반만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민족을 아직도 모르는 세계인이 있냐고……
마찬가지로 이 땅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민족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다면 우리는 카자흐스탄과 고려인에 대해서도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민족에 대한 관심은 결코 미세한 차이를 극대화 시켜 소수민족별로 갈라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각개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더 잘 이해함으로써 세계시민으로서 또는 카자흐스탄 국민으로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함임을 분명히 해 둔다. 
  고려인에 대한 아픈 역사를 안다면 고려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처럼 우리도 기타 소수민족의 문화와 역사를 잘 앎으로써 이들을 더 잘 이해해 보도록 하자. 그리고 형제가 되자.
  본지에서는 이러한 취지로 이 땅에는 어떤 민족들이 살고 있나? 시리즈를 기획하였다. <편집자 주>

2. 크림타타르
 123.jpg

<알마티에 있는 크림타타르민족문화중앙 간부들이 전통의상을 입고 민속춤사위를 보여주고 있다>

  카자흐스탄에는 고려인과 비슷한 운명을 가진 민족이 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4년, 독일나치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중앙아시아로 이주된 크림타타르인들이 바로 그들이다. 약 20만명이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 우랄 등지로 강제이주 당했고 크림 자치공화국은 폐지되었다. 1944년 5월 18일이었다. 그래서 오는 18일은 크림타타르인들의 강제이주 75주년이 된다. 이들은 구소련의 해체시기에 고향땅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을 벌이는데, 이 또한 같은 시기에 고려인들이 연해주로 되돌아가자고 하던 운동과도 닮아 있다. 
크림타타르인들이 원래 살았던 크림반도는 흑해연안의 온화한 기후와 아름다운 풍광을 가진 곳이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와중에 우크라이나를 떠나 러시아로 편입될 것을 결정하는 주민투표를 성사시킨 곳이 바로 이 지방이다. 영국의 간호사 나이팅게일이 활약했던 러시아와 오스만 투르크간의 전쟁터가 바로 크림이었다.
투르크어를 쓰고 이슬람을 믿는 크림타타르인의 역사는 칭기즈칸의 후예가 세운 크림칸국에서 시작된다.  18세기 초까지만 해도 크림반도를 포함한 이 일대에 큰 영향력을 가졌던 크림칸국은 18세기 말경이 되면 신흥 강국 러시아에 밀려 결국 러시아의 한 주로 병합된다. 1917년 러시아혁명과정에서 잠시 독립했지만 1921년 소비에트연방에 편입되는 역사를 가진다.
  자 그럼, 크림타타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크림타타르는 약 30만명 안팎의 인구로 13세기 크림반도에 정착했었고, 예케몽골울루스 (대몽골국) 건설시기에 러시아와 동부 유럽의 많은 지역을 정복하는데 앞장섰다. 크림타타르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타타르의 한 일파이다. 즉 타타르는 볼가 타타르, 아스타라한 타타르, 시베리아 타타르, 카슴 타타르, 리투라이아 타타르 등이 있다.
  볼가 타타르는 흔히 카잔 타타르라고도 부르는데, 러시아연방내 타타르스탄이라는 자치공화국을 가지고 있다. 타타르인구의 반수 이상을 차지한다. 타타르스탄의 수도 카잔은 대한민국 축구 역사에서 영원히 기억될 ‘카잔대첩’이 일어난 곳이다.   2018년 6월 27일 카잔 아레나에서 열린 FIFA 월드컵의 F조 3차전 한국과 독일의 경기에서 김영권과 손흥민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당시 키르기즈의 천산산맥을 여행중이던 필자는 현지 카페에서 경기를 시청하다가 너무 기뻐서 소리를 치며 펄쩍 뛰었던 기억이 난다. 다행히 카페 주인이나 손님들도 이런 필자를 너그러이 양해해주었을 뿐 아니라 함께 기뻐해주었다. 어쨋던 이로 인해 독일은 1승 2패, 2득점 4실점을 기록하며 F조 최하위로 80년 만에 1라운드에서 탈락하면서 사상 최초로 조별리그 탈락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되었고 한편, 대한민국은 같은 시각에 펼쳐진 멕시코와 스웨덴의 경기에서 멕시코가 스웨덴에 0:3으로 패배하면서 16강 진출에 실패하였지만 국민들의 기억에 길이 남을 각본없는 한편의 드라마였음은 분명하였다.
다시 타타르 얘기로 돌아가서 카잔타타르인들은 우리 눈에는 마치 러시아인과 똑같이 보이는데 혼혈로 인해 피부색이나 외형은 서양인으로 바뀌었다.  이슬람교를 믿으며 농업을 주된 생업으로 하고 있다.
   아스트라한 타타르는 큽착칸국의 노가이 타타르의 자손으로 볼가강 하류의 삼각주 지대에 살며 천막, 2륜 짐마차와 같은 유목민적 전통이 남아있다. 인종은 몽골로이드이며 노가이어를 쓴다.
  시베리아 타타르는 현재 약 10만명 정도가 있는데 터키어계의 큽착어를 쓰며 이슬람교 순니파에 속한다. 러시아의 튜멘, 톰스크, 옴스크 부근에서 많이 살며, 서시베리아 타타르라고도 한다. 대부분 농민이며 일부가 도시의 노동자, 지식인이다.
  카슴 타타르는 15세기에 카슴칸을 수장으로 카잔칸국에서 이탈해 나온 집단으로 전통종교인 이슬람을 고수하고 있다.
  리투아니아 타타르 노가이 튀르크족의 후예로 리투바니아를 도와서 1410년 리투아니아로 이주정착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현재 대부분 폴란드에서 살며 폴란드어를 사용하고 있다. 리투아니아의 종교상황은 대부분이 수피 이슬람을 믿고 있으며 샤머니즘과 라마교를 믿는 자들도 있다.
여기서 잠깐, 우리는 타타르인들이 왜 이렇게 넓고 다양한 지역에 살고 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우리의 사고방식이 아니라 유목민의 사고 방식으로 이 현상을 바라본다면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왜냐하면, 유목민들은 전통적으로  국가의 구성 요건으로써  정주민들이 영토를 중요시했던 것과 달리 사람을 제일로 여겨왔기 때문이다. 즉, 유목민들은 징기스칸 이전 시기인 스키타이제국, 흉노제국, 돌궐(투르크)제국 시기에도 마찬가지 사고방식을 가졌다. 특히, 몽골인들은 십진법에 기초를 두고 천호제라는 사회제도이자 전시에는 군사조직으로 전화할 수 있는 행정구조를 만들었다. 
유목민들에게 있어서는 사람이 모이면 곧 국가가 되는 반면 영토적 공간은 몽골고원일 수도 있고 카자흐스탄 초원일 수도 있고 크림반도일수도 있었던 것이다. 이런 사고방식을 가졌던 몽골인들은 실로 유라시아 곳곳에 칸국을 건설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크림칸국이었던 것이다. 유목민들의 이러한 전통적 국가관을 이해하고 크림칸국의 역사와 크림타타르인들의 문화를 봐야 한다고 주장을 해두고, 크림타타르인들에 대해 좀 더 깊이 들어가보자.
  크림타타르인은 13세기 무렵 통일몽골의 칭기스칸 장남 주치를 따라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이주해온 부족들이 13-17세기에 크림 반도에 정착해 생겨나게 되었다. 크림타타르인들은 민족 집단 형성이 되던 때인 18세기 중반까지 크림 반도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고, 19세기가 끝날 무렵에는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민족이였다. 크림 반도가 독일군에게서 해방된 이후인 1944년 5월, 소비에트 연방 국방 위원회는 크림 반도에서 소비에트 군대에 복무하는 크림 타타르인들을 포함한 타타르인들을 제거하도록 명령을 내렸고, 이들은 중앙 아시아로 이주당했다. 1967년을 시작으로, 일부가 크림 반도로 돌아가는 것이 허락되었고 1989년에 소비에트 연방 의회는 고향땅에서 쫒겨난 크림 타타르족들의 강제 이주에 대해서 비인간성과 법적 타당성이 없음 등으로 규탄을 받았다. 오늘날, 크림 타타르족은 크림 반도 전체 인구 중 12% 정도를 차지하는 걸로 여겨지고 있다. 대다수의 크림 타타르족은 터키와 중앙아시아에 머무르고 있다.
  타타르인들은 러시아에 합병된 이후 적지 않은 수가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하였다. 그곳에서 망명자들의 공동체(디아스포라)를 형성하였다. 타타르인들이 계속해서 크림 반도로부터 빠져나가는 대신 러시아 당국은 외부의 사람들을 크림 반도로 불러들여 정착하게 만들었다. 크림 반도에 들어온 새로운 정착민 가운데에는 러시아 인 뿐 아니라 그리스 인, 아르메니아 인, 독일인, 불가리아 인 심지어는 스위스 인들도 있었다고 한다. 크림 전쟁기인 1854년에 25만 명의 전체 주민 가운데 타타르 인 15만 명에 비해 러시아인과 다른 외국계 주민들의 수가 도합 10만에 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크림 반도는 시간이 갈수록 타타르 민족의 땅이라는 성격이 약화되었다. 2018년 통계로는 크림 반도의 주민 수는 220만 명에 달하는데 러시아계가 2/3를 차지하고 타타르 인은 10퍼센트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완전히 타타르 인들이 소수민족으로 전락한 데에는 스탈린 시대 소련당국의 정책이 결정타를 날렸다.
1941년 나치 독일군이 그 동맹국인 루마니아 군과 함께 크림 반도를 점령하였다. 나치의 점령은 1944년 5월 소련군에 의해 격퇴될 때까지 지속하였다. 나치 치하에서 일부 타타르 인들이 나치에 협력했던 것은 분명하지만 이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오히려 대다수 타타르 인들은 소련 측에 가담하여 싸웠다. 타타르계의 한 신문에 따르면 크림 반도의 전체 주민 30만 명 가운데 18세 이상의 주민이 95,000 명이었는데 그 가운데 53,000 명이 소련군으로 전쟁에 참여하였고 12,000 명은 나치점령군에 저항하는 조직에 가담하여 싸웠고 전사자는 3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  소련군이 크림 반도를 수복하자 나치협력자로 고발된 타타르 인들에 대한 즉결 처분이 이루어졌다.
크림 수복 후 소련 당국은 타타르 인들을 중앙아시아나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1944년 5월 18일 모든 타타르 인들을 느닷없이 소집하여 열차에 태웠다. 그 가운데에는 공산당원도 있었고 빨치산 활동을 한 사람도 있었다. 남녀노소, 성분을 불문하고 크림 타타르 인이라면 모두 강제추방의 대상이었다.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을 향해 3, 4주간이나 소요되는 여행이었다. 무려 23만 명에 달하는 인원이었는데 당시 크림 전체 인구의 1/5에 달했다.
  추방에 이어 1921년부터 크림 반도가 누리던 자치공화국의 지위가 박탈되었다. 이제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의 한 주로 그 지위가 낮아졌다. 쫓겨난 타타르 인들에게는 자유로운 이주가 허용되지 않았다. 후르시초프 하에서 이러한 제약은 풀렸지만 크림으로 돌아갈 권리는 주어지지 않았다. 중앙아시아의 크림 타타르 인들이 다시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된 것은 소련이 붕괴하기 직전인 1989년이 되어서였다. 20만 명이 넘는 타타르 인들이 고향으로 돌아왔다. 소련 당국은 이들의 재산환수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1954년 후르시초프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합병된 300주년을 기념하여 크림 반도를 우크라이나 공화국에 넘겨주었다. 그런데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고 이때 독립한 우크라이네에서는 2004년 소위 ‘오렌지혁명’이 일어나 유럽연합과 나토에도 가입하기를 원하는 반러, 친서방 세력이 정권을 잡았다. 그러나 다시 친러정권이 들어서고 이를 불법적으로 몰아내는 과정에서 유혈사태가 발생하는 등 불상사가 일어났다. 2014년 크림 자치공화국에서는 주민투표를 통해 러시아에 합병되는 수순을 밟았고 이를 통해 크림 반도는 다시 러시아의 수중으로 되돌아갔다. 아직도 미국과 유럽연합은 러시아의 크림 합병을 무효라고 선언하고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우크라이나에서는 최근 코메디언 출신인 젤렌스키가 당선되어 그의 향후 향보가 국제사회의 주목을 끌고 있다.  (김상욱)

<참고문헌>
Thomas Milner, The Crimea, Its Ancient and Modern History (1855)
Alan Fisher, The Crimean Tatars (Hoover Institution Press, 1978)
Bryan Glyn Williams, The Crimean Tatars : The Diaspora Experience and the Forging of a Nation (Brill, 2011)

Share With:
Rate This Article

almatykim67@gmail.com

No Comments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