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치 울루스 성립 800주년 특별 기획 : 유목민의 땅, 중앙유라시아의 역사 5]
흉노의 쇠퇴와 분열
김상욱(알마티고려문화원장/ 한인일보 주필)
한나라는 고조 이래 흉노에 대해 소극적인 정책으로 일관했다. 그러나 한 무제가 즉위하면서 충실한 국력을 배경으로 적극적인 대 흉노 정책을 펴기 시작했다. 먼저, 기원전 139년 장건을 서방의 대월지에 파견하여 흉노에 대한 협공을 모색했는데, 도중에 장건이 흉노에게 붙잡히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 여러 차례의 계략이 실패로 끝났으나 한 무제의 와심상담의 결과로 전세가 점차 한나라쪽으로 기울었다.
한나라 군대는 기원전 121년에 하서 지방을 빼앗고 2년 후에는 고비 남쪽에 있는 흉노의 근거지를 일소했다. 하서를 손해 넣은 한은 서쪽으로 이어지는 서역, 즉 중앙아시아 오아시스 지대로 손을 뻗쳐서 파미르 서쪽의 대원(페르가나 지역)까지 그 위세가 미치게 되었다.
그 이전 흉노는 서역에 동복도위 라는 관리를 파견하여 오아시스의 여러 나라들로부터 물자와 사람을 징발했는데 마침내 오아시스라는 수입원을 빼앗기고 좋은 목초지가 있는 하서 지방마저 상실하게 되면서 점점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
바로 이때를 즈음하여 선우 자리를 둘러싸고 형과 동생간에 내분이 발생했다. 동생 호한야가 이끄는 동흉노는 한나라에 복속되고, 형 질지선우가 이끄는 서흉노는 서쪽으로 이주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알마티 주변 즉, 텐산 북쪽 기슭에 본거지를 두고 활동하지만 질지 선우가 살해되면서 서흉노도 와해되고 말았다.
중국이 혼란에 빠질 때 흉노는 잠시 세력을 되찾고 예전의 위세를 회복하는 듯 했으나 천재지변과 전염병으로 세력이 다시 약화된다. 몽골고원에 남은 북흉노는 남쪽에서 중국과 남흉노, 동쪽에서 선비와 오환의 공격을 받고 서방으로 이동했다. 하지만 그들도 2세기 경 톈산 북방에 있었음을 보여주는 기사를 끝으로 중국 사서에서 자취를 감춘다. 그리고 유럽의 민족대이동을 촉발시킨 ‘훈과 흉노의 동족설’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고, 이들의 활동의 주 무대였던 유라시아 초원지대에 대해 다시 한번 살펴보자.
유라시아 초원지대는 확실히 유목에 적합한 땅이다. 그러나 유목이라는 것이 생산성이 낮고 기상조건에 따라 성패가 크게 좌우되다 보니까 유목 국가는 불안한 경제기반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목 외에도 약탈, 수공업, 농경민과의 교역 등 다른 방법을 써서 생산성을 높이지 않으면 안되었다. 유목 국가가 하나의 국가로서 존립하기 위해서는 유목과 상반된 정주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모순에 부딪히게 된 것이었다.
유목 국가 안에서 정주적 생산활동에 종사한 사람은 중국인을 비롯한 정주 농경 사회 출신자들이었다. 흉노는 수시로 중국 북쪽 변방을 침략하고 약탈을 자행했는데, 약탈이라 하면 흔히 금이나 은을 비롯한 재화를 생각하기 쉽지만 흉노인들은 주로 인간과 가축을 약탈했다.
흉노는 끊임없이 사람과 가축 약탈을 자행했는데, 이들 뿐 아니라 전쟁에서 포로로 잡혀온 사람, 한나라에서 망명한 사람, 그리고 생활이 어려워 도망 온 사람도 적지 않았다.
흉노의 국가 체제에 대해서는 1) 통치와 행정기구가 정비되어 있지 않은 미숙한 수장제 국가 2) 국가 형성과정의 단계 3) 지배 씨족과 그 아래에 몇 개 부족을 연합한 부족 연합 국가 4) 다른 집단을 지배한다는 데 근거하여 제국으로 보는 견해 5)마르크스, 엥겔스의 사회 발전 단계설에 의 거하여 노예제 국가로 보는 견해 6) 유목민 특유의 발달한 권력형태이자 이민족 까지 지배한 군사 민주제 제국으로 보는 견해 등 여러가지 설이 제출되어 있다.
정주민을 대량으로 붙잡아 와서 북쪽 변방에 부락을 만들고 생산활동에 종사시키는 한편, 그곳을 북방의 군사 거점으로 활용하는 일은 개별 부족차원에서는 수행하기 힘들다. 이는 적어도 국가 차원에서나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선우는 여러 지역 출신의 고문단과 부족장 회의 결정 사항을 존중하면서 군사권과 행정권, 그리고 종교적 권력을 한 손에 쥐고 있던 존재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중국이나 유럽과 같은 정주 사회의 척도를 가지고 유목 국가를 평가하여 흉노를 국가 형성 이전 또는 그 과정에 있는 상태로 보아서는 안된다. 흉노와 같은 통치 형태야 말로 기마 유목민의 국가라고 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위의 국가 체제에 관한 설 가운데서 3, 4, 6이 가장 설득력이 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