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기획특집특별 기획 : 주치 울루스 성립 800주년 특별기획  10

특별 기획 : 주치 울루스 성립 800주년 특별기획  10

중앙아시아의 이슬람화 

                     김상욱(고려문화원장/한인일보 주필)

<서낭당 마을 어귀에 돌무더기와 서낭목과 함께 있던 작은집을 서낭당이라 하였다>

          알마타 시민들 뿐만 아니라 이 도시를 방문하는 외국인들도 즐겨 찾는 명소 중에 하나가 바로 ‘침불락’이다.  주말이면 연인이나 가족 단위의 나들이객들로 붐비는 ‘메데우’빙상장과 더불어 알마타 시민들이 애용하는 스키장이자 여름철에는 알피니스트들이 즐겨찾는 유명한 트래킹 코스 중 일부이기도 하다.

침불락에 올라가서 스키 리조트 옆으로 난 길을 따라 ‘투육수’ 방향으로 약 20~30분 정도 트래킹을 하면 나뭇가지에 헝겊이 묶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서낭당과 유사한 알타이족속의 대표적인 풍습인데, 알마타 주변 뿐만 아니라 카자흐스탄 전 지역 그리고 심지어 러시아의 예카제린부르크에서부터 극동의 블라디보스톡까지 시베리아 어딜가나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이는 샤머니즘 풍습이 이 지역민들의 의식속에 아직도 남아 있기 때문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 사는 투르크계 민족들은 이슬람교를 믿는다. 샤마니즘의 기층 위에 이슬람이라는 종교가 세워져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유라시아 초원에는 언제부터 이슬람화가 진행되었을까?

 ‘이슬람화’라는 역사적 현상은 그 기준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개인 차원에서 보면 이슬람의 가르침을 받아들이고 무슬림으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특정한 인간 집단을 기준으로 할 경우 무슬림이 된 사람들이 이슬람 규범에 의거하여 사회를 이루어가는 과정을 말하고 지역적 측면에서 고찰할 경우 어떤 지역이 대체로 무슬림 주민에 의해 채워지고 그곳에 이슬람사회가 형성되어가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슬람 세력의 중앙유라시아 진출은 아랍군이 이란 서부 고대도시 니하반드 전투에서 사산조 페르시아의 정규군을 격파하고 사산조 동부 영토인 호라산과 시스탄 방면으로 진출을 시작한 642년 경으로 거슬러올라간다.

         근데, 여기서 잠시 샛길로 빠져서 글 첫머리에 언급되었던 ‘메데우’와 ‘침불락’에 대해 독자들이 알고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되는 몇가지를 소개하고 싶다.  바로 지명의 어원과 또 그와 연관된 고려인 이야기들이다.  

  카자흐어로 지주, 기둥이라는 뜻의 ‘메데우’에는 과거 한국의 빙상스타였던 배기태 선수가 금메달을 딴 빙상경기장이 있다.  배기태는 우리가 잘 아는 모태범과 이상화, 이승훈 선수들이 활약하기 한참 전인 80년대 한국 빙상의 간판 선수였다. 1988년 카자흐스탄 알마티의 메데우 경기장에서 열린 세계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에서 그는 금메달을 목에 걸었는데, 당시 소련은 적성국가로써 우리나라와 교류가 없었을 뿐더러 모스크바도 아니고 알마아따(현재의 알마티)에서 열리는 대회는 국민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바로 이 대회에서 배기태 선수가 500미터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7년 알마티에서 열렸던 동계유니버시아드 대회 취재과정에서 만난 한국의 빙상국가대표팀 감독은 “제가 배기태 선수에 이어 그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어요”라면서 “그때 우리 선수들은 소련에서 대회가 열린다고만 알고 비행기를 탔는데, 몇 번 갈아타기를 거듭해서 도착한 경기장이 바로 이 메데오 경기장이었습니다. 현재는 인천에서 직항노선으로 6시간이면 도착할 수 있는 곳을 그때는 수십시간을 돌아서 왔었죠”고 당시를 회상해주었다.

메데우에는 천산산맥의 산사태를 막기 위해 건설된 댐이 있다. 이곳은 결혼식을 마친 신혼부부들이 웨딩촬영을 하는 장소로 잘 알려져 있는데,  1970년대 건설부 차관을 역임한 허가이 알렉세이 라는 고려인이 건설했다. 옛 자료들을 보면 당시 세계 각국의 토목공학자들을 놀라게 했다고 한다. 해발 2000미터 산속에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건설자재를 실은 공사 차량이 진입이 여의치않고 진흙이 흘러내리는 악조건에서 공사를 강횅해야 하는 불리한 상황속에서 그는 협곡 좌우에 있는 높은 산을 폭파시켜 산에서 쏟아져 내린 흙과 돌로 100미터 높이의 댐을 축조한 공법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된 공법을 보기 위해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여러나라와 일본 유네스코 에서 견학을 오고 모스크바에서 전문가들이 찾아왔다.  고려인 허가이 알렉세이는 이 댐을 건설한 공로로 국가 공로훈장을 받았다.

          그는  한-소 수교 후 카자흐스탄이 독립하자 모스크바 를 돌아와야만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카자흐정부에 서울과 알마타간 직항노선을 개설할 것을 건의하고 허가를 받아낸다. 이렇게 해서 1995년부터 김포공항과 알마티공항간에 ‘그라프로’ 직항기가 취항하게 되었다.

당시 이 직항기는 사람보다 물건이 더 많이 싣고 다녔기 때문에 화물기라는 소리를 듣긴 했지만 약 20시간의 하늘길을  절반 이상 단축시켜주었기 때문에 한국과 카자흐스탄을 오가는 보따리 상인과 기업 출장자, 교민들에게 큰 환영을 받았다. (이 ‘그라프로’비행기와 관련된 재밌는 에피소드는 다음에 적당한 기회가 되면 다시 한번 글로 정리해 볼 생각이다.)

         어쨋던 이 직항기의 취항은 수교 후  초창기 한-카자흐 간에 경제, 문화교류에 큰 역할을 한 점을 부인할 수 없다. 오죽 했으면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이 허가이 선생의 생일날에 아스타나 로 불러 직접 축하를 해주었겠는가?  

<해발 2200미터 지점에 위치한 침불락 스키장의 모습>

침불락은 카자흐어로는 ‘쉼블락’인데, 쉼(산봉우리)와 불락(샘, 근원)의 합성어로 ‘산봉우리에 있는 샘’이라는 뜻이다. 침불락은 원래 스키장으로 개발된 지역으로 1940년대 말 영국인들이 해발2200미터 위치한 침불락이 스키장으로서 적합한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하여 침불락을 스키장으로 지정하는 사업을 시작하여 1954년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스키장을 개장했다.

1940년대에 한 아마추어 스키어에 의해 발견된 이곳은 구소련에서 첫번째 다운힐 슬로프로 개발되었으며, 1954년 부터 정식 스키장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후 소련챔피언십 대회 등을 꾸준히 개최하였으며, 동계올림픽 개최장소로도 여러번 거론되었습니다. (2022년 동계올림픽에서는 불과 4표 차이로 베이징에 개최를 양보하였다.)

침블락 스키 리조트의 최대 강점은 바로 카자흐스탄의 옛수도인 알마티시 도심에서 불과 25km 거리, 자동차로 30분이 채 걸리지 않은 좋은 접근성과 겨울 평균기온은 -7 ℃ 이며, 평균 강설량은 약 1.5m 연평균 맑은 날이 300일에 달해 천혜의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스키 시즌인 12 월에서 4 월 외에도 침불락의 여름은 만년설이 덮여 있는 봉우리들과 산기슭의 계곡이 어우러져 비경을 만들어내며 아름다움을 뽑낸다.

지금은 메데우에서 침불락까지 올라가는 곤돌라가 연중 운행되고 있다. 카자흐스탄 알마티와 아스타나에서 열린 동계아시안게임을 앞둔 2010년 세계에서 2번째로 긴 메데우-침블락 케이블 카가 개통됐다.

이로써, 해발 2200m에 위치한 침블락스키리조트까지 직접 차량으로 올라가는 대신 메데우 빙상경기장 앞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고 약 4.5km의 거리를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가게 되어 그동안 침블락 스키장의 주차부족문제와 자동차 매연으로 인한 생태환경 파괴 논란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중앙유라시아의 이슬람화’는 다음호에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Share With:
Rate This Article

almatykim67@gmail.com

No Comments

Sorry, the comment form is closed at this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