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 워싱톤 – 서울 축 김 게르만 – 역사학 박사, 알-파라비 명칭 카자흐국립대 한국학 센터 소장, 건국대 (서울) 역사강좌 교수, 중앙아시아 협력 및 연구 센터 소장 지난 주 말에 <20개국> 정상회의 최종회의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는 문재인 대통령 더러 <트럼프의 한국 방문 시기에 군사분계선 지대에서 김정은과 만날 가능성에 대해 자기의 twitter에 쓴 글을 보았는가고 물어보았습니다. […] Read more
카자흐스탄의 별이 된 데니스 텐 지난해 7월 19일, 불의의 사고로 안타깝게 요절한 카자흐스탄의 피겨 영웅 데니스 텐 선수를 기억하는가? 그가 사망한 사고 현장에 오늘 추모비가 세워졌다. 카자흐스탄을 넘어 국제적으로 인정받던 피겨스케이터이자 항일 독립운동가 민긍호 선생의 외고손자였던 그의 조국 사랑은 유난했다. 나고 자란 카자흐스탄은 물론, 할아버지의 땅이자 자신의 뿌리인 대한민국을 사랑했고 자랑스러워했다. 피겨스케이팅 커뮤니티에서는... Read more
카프카스 3개국 중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를 여행하였다. 이번 여행을 통해 이 땅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나고 또 그들의 문화를 느낄 수 있었다. 이 글은 단순여행정보를 나열한 글은 아니고 필자가 보고 느낀 감상을 적은 지극히 개인적인 글이다. 틈틈이 정리해서 시리즈로 연재할 예정이다. 아라라트 꼬냑의 나라, 아르메니아 <가르니신전> 아르메니아는 카프카스산맥에 있는 여러... Read more
카자흐스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 대표적인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에는 카자흐인들외에도 고려인, 러시아인, 독일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통상, 카자흐스탄에는 100여 민족이 살고 있다고 말하는데, 잉구쉬, 크림타타르,... Read more
카자흐스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 대표적인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에는 카자흐인들외에도 고려인, 러시아인, 독일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통상, 카자흐스탄에는 100여 민족이 살고 있다고 말하는데, 잉구쉬, 크림타타르, 체첸, 오세티야, 둥간, 위구르, 아프카니스탄, 우즈베크, 투르크멘, 유대인, 터어키, 쿠르드,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쟌, 카자끼,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Read more
대표적인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에는 카자흐인들외에도 고려인, 러시아인, 독일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통상, 카자흐스탄에는 100여 민족이 살고 있다고 말하는데, 잉구쉬, 크림타타르, 체첸, 오세티야, 둥간, 위구르, 아프카니스탄, 우즈베크, 투르크멘, 유대인, 터어키, 쿠르드,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쟌, 카자끼,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등등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은 민족이 카자흐초원에서 살아가고 있다.... Read more
카자흐스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 대표적인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에는 카자흐인들외에도 고려인, 러시아인, 독일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통상, 카자흐스탄에는 100여 민족이 살고 있다고 말하는데, 잉구쉬, 크림타타르, 체첸, 오세티야, 둥간, 위구르, 아프카니스탄, 우즈베크, 투르크멘, 유대인, 터어키, 쿠르드,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쟌, 카자끼,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등등 이루... Read more
카자흐스탄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 대표적인 다민족국가인 카자흐스탄에는 카자흐인들외에도 고려인, 러시아인, 독일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통상, 카자흐스탄에는 100여 민족이 살고 있다고 말하는데, 잉구쉬, 체첸, 오세티야, 둥간, 위구르, 아프카니스탄, 우즈베크, 투르크멘, 유대인, 터어키, 쿠르드,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쟌, 카자끼, 우크라이나, 벨라루시 등등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은 민족이 카자흐땅에... Read more
대망의 2019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황금돼지의 해인만큼 독자여러분의 가정에 만복이 깃드시길 진심으로 기원드립니다. 지난해는 카자흐스탄의 불경기로 인해 그 어느해보다 어려웠던 시간들이지만 우리의 모국에서는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보장할 만남과 조치들이 일어난 의미있는 한 해였습니다. 올해도 연초부터 민족사의 운명을 좌우할 중요한 일정들이 계속될 예정인데, 그동안 우리 삶의 구석구... Read more
한국인들에게 카자흐스탄은 ‘~스탄’이 붙는 중앙아시아의 이슬람국가들 중의 하나 정도로 알려져 있다. 좀 더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자원의 부국’, ‘중앙아시아에서 제일 잘사는 나라’ 또는 유목민들이 사는 땅 정도로 알고 있다. 카자흐인들의 새해풍습은 ? 이라고 좀 더 깊은 질문으로 들어가면 대부분의 한국인들... Read more